| 世 (세) | 十一世 | 
| 名 (이름) | 건 | 
| 字 (자) | 공계(公啓) | 
| 號 (호) | 죽오당(竹梧堂) | 
| 諡號 (시호) | 
 | 
| 生 (출생) ~ 卒 (사망) | 1513년 ~ 1584년 | 
| 墓 (묘소) |   전남 나주에서 서쪽으로 
            五十리 밖 신걸산 복동에 있는데 ,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나주시 다시면 
            가운리이며 오향원에 쌍분으로 있다. | 
| 官爵 (관작) 등 | 왕자사부(王子師傅), 예산현감(禮山縣監) | 
| 遺韻 (유운) | 
 | 
| 配 (배필) | 아산이씨(牙山李氏) 돈녕첨정(敦寧僉正)의 귀남(貴男)의 따님으로 슬하에 3남3녀. | 
| 其他 (기타) |   중종(中宗) 8년(1513) 
            향제에서 태어났으며 개제(愷悌 : 뛰어난 모양)한 용모와 총명한 재주로 
            촉망을 받았고 8세 때 외가 쪽으로 취학하여 집을 떠났고 3년 동안이나 
            정성을 궐하자  " 부모님을 떠난지 몇 년이 되었는고 멀리 
            흰구름만 바라보네 불효한 죄 내 어찌 면하리요? 3년 동안이나 돌아가지 
            못했으니..." 이때 10세 였다. 그후 당숙부(堂叔父)인 문경공(文敬公)의 
            남긴 가르침을 이어 받아 성리학(性理學)을 연정(硏精)하고 효제(孝悌)의 
            도리를 다하였다. | 
| 註 왕자사부(王子師傅) : 조선시대 大君, 王子의 講學을 맡은 벼슬로 학덕이 높은 관원에게 임시로 임명되었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