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시조 허선문(宣文)은 가락국(駕洛國) 수로왕비(首露王妃) 보주태후(普州太后) 
            허씨의 30세손으로 고려조 대광공(大匡公)이었다.
 대대로 공암촌[공암현(孔巖縣, 
                공암은 양천의 다른 이름)]에 
            살면서 농사에 힘을 써 거부가 되었다.
 마침 고려 태조가 후백제 
            견훤을 정벌할 때 군량이 부족하여였는데 군량을 보급하여 군의 사기를 
            회복케 함으로서 후백제 견훤을 대파하였다.
 태조가 그 공을 가상히 
            여겨 가부(假父)라 칭하고 공암을 식읍으로 하사하였다.
 이로 인하여 본관을 공암(孔巖, 
                양천(陽川))으로 하였다.
 
 | 
    
        |  [ 대표적 인물(代表的人物) ] 허원 : 허선문의 손자, 고려 목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검교예빈성경에 올랐다.
 허정 
                : 예부상서를 지낸 후 태자태보에 
이르었다.
 허재(載) : 정의 아들, 문하시중 평장사를 지냈다.
 허공(珙) :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한 후 1284년(충렬왕 10)수국사를 겸하여 원부 등과 함께 [고금록]을 
찬술하고 첨의중찬에 올랐다.
 허숭(嵩)
 허금(錦)
 
 허손 : 조선에서 
                재령군수이었다.
 허종(琮) : 
                허손의 아들, 우의정
 허침(琛) : 허손의 아들, 
                좌의정
 허한 : 군자감 부봉사
 허엽(曄) :  한의 아들,  서경덕의 문하에서 글을 배워 여러 관직을 역임한 후 선조 때 동서분당의 
소용돌이 속에서 동인의 영수가 되어 조광조의 신원과 허자, 구수담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한때 파직되기도 했으나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.
 허목(穆) : 숙종 때 우의정
 허균(筠)
 허적(積) : 영의정
 허숙 
                : 숙종 때 화가이다
 허원: 과학자이다
 허재욱 
                : 한말의 의병대장이였다,
 |